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북

경북도-몽골‘탈탄소동맹’, 지방정부 기후외교 참여 첫사례

양금희 부지사, 기후외교는 함께 잘사는 글로벌 미래공동체 비즈니스

 

디지타임즈(DGTIMEZ) 이강옥 기자 | 경북도는 27일 에이펙(APEC)이 열리고 있는 경주엑스포대공원 회의실에서 몽골 환경기후변화부, 에너지부, 울란바타르시가 참여한 가운데 탄소배출권 사업 등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경상북도가 몽골정부와 함께 국제온실가스감축(ITMO)에 대해 협력하고 몽골의 알프스라고 불리는 흡수골도(무른시) 관광지역 석탄발전소와 울란바타르시 대중교통의 친환경 전환사업에 도내기업 참여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국제온실가스감축은 파리기후협정 제6조에 근거한 국제 탄소감축거래제도로 국가 간에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사고파는 제도다.

 

특히, 한 나라가 다른 나라에서 감축한 온실가스 실적을 자국의 감축목표(NDC)에 반영할 수 있도록 허용한 제도로서 경북의 기업이 몽골에서 탄소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감축된 CO2량을 한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받게 된다.

 

지방정부 기후외교 선도모델... 국가단위 탄소사업 참여

 

경상북도가 지방정부 차원에서 해외 국가단위와 국제온실가스사업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중앙정부 수준의 외교와 달리 지방정부가 직접 기후외교에 참여하는 국내 최초의 모델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지자체 차원에서 현수막 소각 등으로 발생하는 탄소배출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배출권을 매입하는 소극적인 사례들은 있었지만, 이번 경북의 사업처럼 공공이 지역기업과 함께 탄소감축 잠재력이 높은 국가를 찾아 직접 탄소감축산업을 공급하는 첫 번째 사례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경북의 기업은 경상북도와 몽골정부의 든든한 지원아래 재생에너지, 산림복원, 에너지효율화 등 탄소감축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디젤버스 60대 친환경버스로 전환, 소나무 10만그루 심는 효과

울란바타르시의 디젤버스는 현재 1,200대 정도이며, 선도사업으로는 디젤 시내버스 50대, 행사버스 10대를 친환경 전기버스로 전환하는 사업을 지역기업인 ㈜씨에스텍 컨소시엄과 협의 중이다.

 

몽골이 디젤 시내버스 50대를 전기버스로 전환하면 연간 약2,000톤의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무려 91,000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과 맞먹는 환경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한다. 도시의 숨통을 틔울 이번 전환 사업은 단순한 교통 혁신을 넘어, 기후 위기 대응의 상징적 이정표가 될 것이다.

 

태양열을 통한 지역난방, 하루 3천가구의 난방 지원

또한, 세한에너지(주) 컨소시엄은 태양열을 활용한 지역난방 공급체계를 흡수골도(무른시) 관광지역에 구축하게 된다. 총사업비 300억원 규모로 진행되는 지역난방 공급사업은 하루 640톤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50MW의 열을 태양열로 대체하는 사업으로 하루 약 3천가구가 쓸 수 있는 열에너지 규모로 평가되며 연간 약50,000톤의 CO2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경북도내 기업들 수출과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참여기업 관계자들은 새로운 비즈니스에 관한 높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 이번 사업의 성공을 통해 몽골 다른 지역에도 경상북도 기업의 친환경 탄소감축사업의 파이프라인이 진출할 기회가 될 것이고 도내 탄소배출권 확보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후외교 미래를 위한 글로벌 미래공동체 비지니스

양금희 경제부지사는 “이번 협약은 지방정부가 직접 국가단위와 기후외교를 하는 첫 사례로 의미가 있고, 몽골은 아시아 국가 중에서도 전력망의 80%를 석탄화력발전소가 차지하는 만큼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이 높은 국가로 친환경 에너지산업이 주력인 경상북도와의 협력이 윈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친환경, 탄소감축으로 대표되는 기후외교는 기업을 살리고 미래세대까지 함께 잘사는 글로벌 미래공동체 비지니스다”고 강조했다.

 

경상북도와 울란바타르시는 2024년 4월 친환경 에너지 공급 및 그린도시 조성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 업무협약으로 더욱 관계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헤드라인

더보기


포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