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0.0℃
  • 흐림강릉 9.4℃
  • 박무서울 10.1℃
  • 흐림대전 15.1℃
  • 구름많음대구 19.3℃
  • 구름많음울산 16.1℃
  • 광주 16.7℃
  • 흐림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3.9℃
  • 흐림제주 18.2℃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15.0℃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7.1℃
  • 구름많음경주시 13.3℃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경북천년숲정원,장애인 이용 불편... “다른곳 가세요”

관광객 유치만 급급, 전시행정에 혈세낭비 비판
장애인들이 즐길 수 있는 ‘체험활동 공간’ 필요
보여주기 ‘지방정원’을 ‘일반공원’으로 변경요구
용역업체의 공공시설 ‘사유화’ 행태도 도마 위

디지타임즈(DGTIMEZ) 최신형 기자 | 경북 제1호 지방정원으로 지정된 ‘경북천년숲정원’이 장애인 편의시설 부재로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경북도는 정원 조성을 위해 수백억 원의 예산을 들였지만 정작 장애인들을 위한 기본적인 쉼터조차 마련되지 않아 실적 위주의 전시행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취재를 종합하면 경상북도산림환경연구원 내에 위치한 이 정원은 일반인도 전체를 둘러보는 데 약 1시간 30분이 소요되는 규모지만, 장애인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장애인들이 정원 방문 시 불편을 호소하면 ‘다른 곳을 안내’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보여주기식 ‘지방정원’을 시민들이 편안히 쉴 수 있는 ‘일반공원’으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한 복지관이 장애인 가족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극명하게 드러났다. 복지관 측은 지난 6일 경북천년숲정원에서 루페를 이용한 식물관찰, 목련꽃잎 활동, 밧줄놀이 체험 등의 숲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려 했으나, 정원 내에서는 돗자리를 펼 수 없다는 규정으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한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들은 가족들과 정원에는 오지 말라는 말인가. 마땅히 쉴 만한 자리도 없는데 단체 활동을 위해 돗자리도 못 펴게 했다”라며 불만을 표출했다.

 

결국 복지관 측은 정원에서 30분 가령 차량을 이용해 황성공원으로 장소를 옮겨 활동을 마무리했다. 담당 사회복지사는 경북천년숲정원의 환경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참여 가족들의 불편함과 이동 부담을 고려해 향후 프로그램은 경주 남산 선덕여왕릉으로 장소를 변경했다고 밝혔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 정원에서 산림교육 용역을 받은 업체가 자신들의 실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장애인들에게 장소 이동을 종용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 업체는 자신들이 주관하는 행사가 있을 경우에는 일반 방문객의 정원 출입조차 제한하는 등 공공시설을 사유화(私有化)로 민원이 제기된 적도 있다.

 

이에 대해 경북산림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용역업체에서는 다른 탐방객들을 안내하느라 장애인들이 온지도 몰랐다”며 “하루에도 1000여 명 이상의 일반인 관람객들이 찾는 정원 관리상 돗자리 등은 펼 수 없다”라고 단호한 답변을 내놓았다.

 

장애인 단체들은 공공시설인 지방정원이 모든 시민에게 평등한 이용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활동이 제한되는 현실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천년숲정원은 처음 설계부터 대형버스 주차장을 마련하지 않아 장애인 단체 등이 버스를 이용해 방문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수년째 이어지고 있지만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 ‘변해야 산다’라는 경북도의 슬로건이 무색하게도, 경북산림환경연구원의 운영 방식은 여전히 변화의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번 사태는 공공시설의 장애인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관광객 유치와 시설 보존이라는 목표와 함께, 모든 시민이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용역업체의 공공 시설의 사유화(실적)에 대한 제도 개선이 절실한 시점이다.

헤드라인

더보기


포토

더보기